
한국어를 쓰다 보면 ‘이게 맞나?’ 싶은 단어들이 많습니다. 특히 외래어 표기는 영어에서 온 단어를 한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음이 미묘하게 변하기 때문에 더욱 헷갈리죠. 그중에서도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표현이 바로 메뉴얼 매뉴얼입니다. 혹시 여러분도 문서를 작성하다가 ‘이거 맞는 표현인가?’ 하고 검색해 본 적이 있나요? 오늘 이 글을 읽으면 두 단어 중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지 확실히 알게 될 겁니다. 또한, 다른 외래어 표기도 함께 살펴보면서 맞춤법 실수를 줄일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1. ‘메뉴얼’ vs. ‘매뉴얼’, 과연 정답은?정답부터 빠르게 공개하겠습니다. ‘매뉴얼’이 맞는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메뉴얼’은 왜 틀린 걸까요? 많은 사람들이 ‘메뉴얼’이라고 쓰고 말하지만, 이는 영어 원래 발음..

한국어 맞춤법 중에서 유독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번번이"와 "번번히"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문장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이지만, 뜻이 미묘하게 달라서 잘못 사용하면 어색한 문장이 되기 쉽습니다.이 글에서는 "번번이"와 "번번히"의 차이를 쉽게 설명해 드릴 테니, 앞으로 헷갈리지 않고 정확하게 사용해 보세요!"번번이"의 뜻과 사용법"번번이"는 매번, 여러 번이라는 의미를 가진 부사입니다. 어떤 일이 반복될 때 쓰이며, 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문✔ 그는 시험을 볼 때마다 번번이 떨어졌다.✔ 중요한 약속이 있을 때마다 번번이 늦는다.✔ 나는 복권을 살 때마다 번번이 꽝만 뽑는다.위 예문들을 보면 "번번이"는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특히 좋지 않은 결과)에..

우리말 맞춤법은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때우다"와 "떼우다"는 발음이 비슷해 자주 혼동되는 단어인데요. 혹시 여러분도 “점심을 때우다”가 맞는지 “점심을 떼우다”가 맞는지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 이 글을 읽고 나면 더 이상 헷갈릴 일이 없을 겁니다!1. '때우다'의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때우다"는 특정한 일을 대충 처리하거나 대신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대표적인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일을 대강 마무리할 때예) "숙제를 대충 때우고 친구를 만나러 갔다."어떤 것으로 대신할 때예) "컵라면으로 점심을 때웠다."금속 등을 녹여서 틈을 메울 때예) "구멍 난 냄비를 땜질로 때웠다."즉, "때우다"는 임시방편으로 해결하는 느낌을 주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간단한 식사로 점심을 때우다”가 올..

일상에서 ‘부띠끄’와 ‘부티크’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특히 패션, 호텔, 카페 등의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어떤 단어가 맞는 표현인지 궁금하신 적 있나요? 인터넷에서도 두 가지 표현이 혼용되어 사용되다 보니 헷갈리기 쉽습니다. 오늘은 ‘부띠끄’와 ‘부티크’의 정확한 뜻과 올바른 표현을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부띠끄’와 ‘부티크’, 어떤 표현이 맞을까?결론부터 말하면 ‘부티크(boutique)’가 올바른 표기입니다.‘부띠끄’는 과거 일본식 발음에서 유래한 표기로, 현재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식적인 문서나 올바른 한국어 표현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부티크’라고 써야 합니다.2. 부티크(boutique)의 뜻‘부티크’는 프랑스어 ‘boutique’에서 온 단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