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발음이라도 품사와 문맥에 따라 표기가 달라집니다. 아래 표와 판단 규칙만 기억하면 대부분의 오류를 빠르게 잡아낼 수 있습니다.
한 대 (띄어쓰기) — 수량 표현: 차/기계/때린 횟수
예) 차 한 대, 주먹 한 대 맞다
예) 차 한 대, 주먹 한 대 맞다
한대 (붙여쓰기) — 전언·전달의 종결 어미 -대(요)
예) 내일 비 온대(요), 야근한대(요)
예) 내일 비 온대(요), 야근한대(요)
한데 (붙여쓰기) — ① ‘한곳에/함께’ ② ‘바깥(노천)’
예) 돈을 한데 모으다 / 빨래를 한데서 말리다
예) 돈을 한데 모으다 / 빨래를 한데서 말리다
3초 판단표
- 수량 말하나? → 한 대 (띄어)
- ~라고 하더라 전언? → 어간+-대(요) (붙여)
- 한곳/함께? → 한데 (붙여)
- 바깥(노천)? → 한데+‘에서/서’
- 사람에게? → 한테 (조사) — 한데 아님
- 배경·대조 연결? → 하는데 (연결 어미) — 한데 아님
뜻·품사·예문 한눈에 보기
형태 | 품사/문법 | 핵심 뜻 | 예문 | 메모 |
---|---|---|---|---|
한 대 | 수 관형사+의존 명사 | 수량(차·기계·‘때림’ 횟수) | “중고차 한 대 샀다.” / “주먹 한 대 맞음.” | 반드시 띄어씀 |
한대 | 종결 어미 -대(요) | 전언·전달(“~한다고 해”) | “내일 야근한대요.” | 붙여씀 |
한데 | 부사 | 한곳에/함께 | “자료를 한데 모아 공유.” | 붙여씀 |
한데 | 명사(장소) | 바깥(노천) | “빨래를 한데서 말리다.” | ‘에서/서’와 호응 |
한테 | 격 조사 | ~에게 | “후배한테 물어봐.” | ※ 한데와 혼동 주의 |
하는데 | 연결 어미(-는데) | 배경/대조/전환 | “지금 준비하는데 금방 끝남.” | ※ 한데로 줄이지 않음 |
자주 틀리는 문장 바로잡기
❌ 차를 한대 샀다 → ✅ 차를 한 대 샀다
❌ 친구한데 전화해 → ✅ 친구한테 전화해
❌ 지금 한데 가는 중이야(연결 어미 오기) → ✅ 지금 하는데 가는 중이야
❌ 문서를 한 데 모으자 → ✅ 문서를 한데 모으자
💡 전언: “내일 회의 한대.” (= “한다고 해”)
미니 퀴즈
- 택시 (한대/한 대)만 더 있으면 된다.
- 아이디어를 (한데/한 데) 모아 보자.
- 오늘 눈 온(한대/한데)요.
- 세차는 (한데/한테)서 하지 말고 실내에서 해.
- 지금 준비(한데/하는데) 금방 끝나.
정답 보기
- 한 대
- 한데 (한곳/함께)
- 한대요 (전언 -대요)
- 한데 (‘바깥’+에서/서)
- 하는데 (연결 어미)
FAQ: 댓글에서 자주 묻는 오해
- “한 데/한데” 둘 다 맞나요? — 의미가 다릅니다. ‘한데(한곳/바깥)’는 붙이고, ‘한 데’는 ‘한 곳’처럼 띄어쓰기가 자연스러운 일부 표현에서만 씁니다. 보통은 한데로 굳어져 쓰입니다.
- “때린 횟수”는 왜 ‘한 대’인가요? — ‘대’가 의존 명사(횟수 단위)이므로 수 관형사와 띄어씁니다.
- 전언 ‘-대요’는 왜 붙이나요? — 종결 어미이기 때문입니다. 어간과 결합해 한 단어처럼 표기합니다.
핵심 체크리스트
- 수량은 한 대 (띄어)
- 전언은 한대(요) (붙여)
- 한곳/함께는 한데 (붙여)
- 바깥 의미는 한데+에서/서
- 사람에게는 한테
- 연결·배경은 하는데
이 포스팅이 도움 되셨다면, 북마크해 두고 문장 쓸 때마다 3초 판단표로 빠르게 점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