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그런데"와 "그런대도"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예문을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더라도 놓치기 쉬운 이 미묘한 차이를 한눈에 파악하고, 앞으로 글쓰기에서 정확하게 사용하세요.
그런데 vs 그런대도: 핵심 차이
‘그런데’와 ‘그런대도’는 둘 다 접속 부사로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만, 의미와 쓰임에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역접의 강도입니다.
1. 그런데: 단순한 반대나 다른 의견 제시
‘그런데’는 앞 문장의 내용과 다른 의견이나 상황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비교적 가벼운 전환을 나타내며, 단순히 앞 내용에 덧붙이거나 반대되는 내용을 제시할 때 적절합니다.
예시: 날씨가 좋다고 했는데, 그런데 갑자기 비가 오네.
2. 그런대도: 앞 상황을 극복하는 반대 의견 제시
‘그런대도’는 앞 문장의 상황이나 조건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반대되는 결과나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그런데’보다 역접의 의미가 강하고, 앞 문장의 내용을 극복하거나 무시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예시: 비가 많이 온다고 했는데, 그런대도 나는 외출할 것이다.
예문으로 이해하는 '그런데'와 '그런대도'
- 그런데: 영화가 재미있다고 들었는데, 그런데 내 취향은 아니었어.
- 그런대도: 길이 많이 막힌다고 들었는데, 그런대도 차를 가지고 가야겠어.
- 그런데: 오늘 바쁘다고 했는데, 그런데 시간이 좀 생겼네.
- 그런대도: 피곤하다고 했는데, 그런대도 일을 끝내야 해.
헷갈리지 않는 팁
‘그런대도’는 ‘그런데’에 ‘-도’가 붙은 형태입니다. ‘-도’는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 문장의 내용을 극복하거나 무시하는 뉘앙스가 필요할 때 ‘그런대도’를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둘 중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헷갈린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표현으로 바꿔 생각해 보세요. 자연스럽게 바뀐다면 ‘그런대도’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결론: '그런데'와 '그런대도' 정확하게 사용하기
‘그런데’는 단순히 다른 의견이나 상황을 제시할 때, ‘그런대도’는 앞 문장의 내용을 극복하거나 무시하는 강한 역접의 의미를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로 대체 가능하다면 '그런대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두 가지 표현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여, 명확하고 효과적인 글쓰기를 완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