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거센소리 된소리 단어 구별법

맞춤법 연구소 2025. 4. 15. 06:58

목차



     

    거센소리와 된소리, 헷갈리시나요? 발음은 비슷하지만 표기법은 다른 거센소리와 된소리! 이 글에서는 명확한 구별법과 예시를 통해 여러분의 한국어 맞춤법 실력 향상을 도와드립니다. 함께 한국어 마스터가 되어봐요!

     

    거센소리 된소리 단어 구별법

     

    거센소리와 된소리, 뭐가 다를까?

    거센소리(ㅋ, ㅌ, ㅍ, ㅊ)와 된소리(ㄲ, ㄸ, ㅃ, ㅉ)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소리의 세기와 표기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거센소리는 예사소리(ㄱ, ㄷ, ㅂ, ㅈ)보다 세게 발음하고, 된소리는 거센소리보다 더욱 세게 발음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면 맞춤법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거센소리 단어, 이렇게 구별해요

    거센소리의 기본적인 특징

    거센소리는 주로 어두(단어의 첫머리)에 사용됩니다. '칼', '타다', '파도', '차'처럼 단어의 처음에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합성어에서의 거센소리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소리가 예사소리(ㄱ, ㄷ, ㅂ, ㅈ)이고, 뒷 단어의 첫소리가 예사소리(ㄱ, ㄷ, ㅂ, ㅈ)일 때, 뒷 단어의 예사소리가 거센소리로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컵 → 물컵', '산+길 → 산길', '해+돋이 → 해돋이', '눈+길 → 눈길' 등이 그 예입니다.

     

    된소리 단어, 이렇게 구별해요

    된소리의 기본적인 특징

    된소리는 주로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사용되지만, '빵', '뽁뽁이'처럼 어두에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된소리는 예사소리나 거센소리보다 발음이 더 강합니다.

    합성어와 파생어에서의 된소리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된소리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갈다'의 명사형 '갈이'와 '밤'이 합쳐진 '밤갈이'는 '밤까리'가 되고, '물+동이'는 '물동이'가 됩니다.

    받침 'ㄴ', 'ㅁ' 뒤의 된소리

    받침 'ㄴ', 'ㅁ' 뒤에 연결되는 된소리도 중요합니다. '신+발 → 신발', '감+자 → 감자', '헌+옷 → 헌옷' 처럼 된소리로 발음되지만 표기는 예사소리로 합니다. '안+방 → 안방', '잠+자리 → 잠자리' 처럼 된소리로 발음되지만 표기는 예사소리로 합니다. 하지만, 용언의 어간 'ㄴ', 'ㅁ' 받침 뒤에 '-따', '-떼다', '-뜨리다' 등이 결합되는 경우, 된소리로 발음되고 표기도 된소리로 합니다. 예를 들어, '곤란하다 (ㄴ) + 뜨리다 → 곤란뜨리다', '담다 (ㅁ) + 떼다 → 담떼다' 와 같습니다.

     

    거센소리와 된소리, 쉽게 구별하는 팁

    • 발음의 세기에 집중: 거센소리보다 된소리가 더 세게 발음됩니다.
    • 단어의 위치 확인: 거센소리는 주로 어두에, 된소리는 어중이나 어말에 옵니다.
    • 합성어/파생어 규칙 숙지: 합성어나 파생어에서의 된소리/거센소리 변화 규칙을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 예외 사항 암기: '신발', '감자'와 같은 예외 사항은 암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꾸준한 연습: 다양한 예시를 통해 꾸준히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결론: 꾸준한 연습으로 한국어 마스터!

    거센소리와 된소리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표기법에서 차이가 납니다. 단어의 위치, 합성어/파생어 규칙, 예외 사항 등을 숙지하고 꾸준히 연습하면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맞춤법 실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핵심은 꾸준한 연습!